북코스모스 소개 회원가입 단체가입안내 KB카드 VVIP 회원인증 이용안내 회원FAQ 도서요약 공지사항
키워드
전체카테고리 보기
ID/PW찾기 l 보안접속
이용권 등록 회원가입
무료체험 바로가기
도서요약
 
 

정도전

  저자 : 이재운
  출판사 : 책이있는마을
  출판년도 : 2014년 01월
  분야 : 시/에세이/문학
a4용지 10매내외 핵심요약전문
웹에서 보기 워드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PDF파일 다운로드
정도전
저자 : 이재운 / 출판사 : 책이있는마을
교보문고  BCMall     
소리 5
저자 : 정상래 / 출판사 : 행복에너지
교보문고  BCMall     
붉은 신호탄
저자 : 정완진 /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사
교보문고  BCMall     

 


이재운 지음
책이있는마을 / 376쪽 / 19,500원


▣ 저자 이재운

충남 청양에서 태어나 공주고와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소설 토정비결』을 비롯해 『상왕(商王) 여불위』, 『천년영웅 칭기즈칸』, 『당취(黨聚)』, 『하늘북소리』, 『바우덕이』, 『갑부』 등의 소설과 우리말 시리즈인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1000가지』, 『우리말 어원 500가지』,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우리말 숙어 1000가지』 등을 집필했다. 성격분석프로그램 바이오코드를 개발하였으며, 관련 저서로 『바이오코드 개론』, 『바이오코드 응용』, 『인연의 법칙』, 『브레인워킹』 등이 있다.


Short Summary

조선 건국의 기틀을 세우고 민본의 정치를 실현하고자 한 정치가 정도전, 조선건국의 설계자이면서 주역이었음에도 정적들에게 무참하게 살해당하고 조선왕조 500년간 역적의 이름으로 남아야 했던 비운의 혁명가 정도전의 삶이 이재운 작가에 의해서 낱낱이 조명되고 있다. 승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옹호하는 역사의 그 이면을, 역사의 행간에 숨겨진 진실을, 작가는 소설적 상상력과 치밀한 고증을 통해 생생하게 밝혀낸다. 이 소설은 우리 역사가 다 말하지 못하고 실록의 행간 속에 숨어 있던 사실들, 누군가 함부로 말할 수 없었던 그 이면의 역사를 소설적 설정을 통해 치밀하게 구성하고 있다. 해박한 역사인식에 발판한 작가적 상상력의 무궁한 힘을 보여주고 있다.

정도전의 큰아들 정진은 아버지가 처형당하고 형제 셋까지 죽은 뒤 16년 동안 전라도 수군으로 지내며 온갖 시련과 고통 속에 보내던 중, 아버지와 형제들의 제사를 지내던 어느 날, 큰아들과 함께 어디론가 끌려간다. 이성계와 함께 조선개국 일등공신인 아버지 정도전을 죽이고 가문을 무너뜨린 태종 이방원이 몰래 부른 것이다. 정진 부자, 그리고 세자인 충녕(이도)을 불러들여 그동안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정도전 살해 사건’에 대한 충격적인 전모를 고백한다. 정도전은 신원할 수 없지만 그의 장자 정진과 정도전의 손자들에게 모두 벼슬을 내릴 것이며, 정도전의 조선 건국이념을 살리고 정도전의 건국 개혁조치를 그대로 따르겠다고 약속한다. 정도전 자손들은 금고에서 해제되고, 정도전이 받았던 공신녹권과 땅을 돌려받는다. 정도전의 이름에는 역적이라는 누명이 벗겨지지 않았지만 정도전의 자손들은 이후 대대로 요직에 등용된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철학자들이 꿈꾸던 군자의 나라, 백성을 하늘로 섬기는 민본(民本) 국가 ‘조선’을 완벽하게 설계했던 혁명가 정도전. 그가 꿈꾸던 조선은 요동을 수복하고 잃어버린 고구려 백성과 여진족까지 품어 안는 나라였다. 정도전은 고구려 정신을 이어가는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할 꿈을 꾸고 있었지만, 끝내 이루지 못하고 스러졌다. 정도전이 살해되지 않고 그가 꿈꾸던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고 요동정벌을 성공시켰다면 우리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성공하지 못한 그의 개혁의 실천과 꿈은 그래도 조선 왕조 500년 내내 유지되고 살아 움직였다. 이 소설은 요동을 호령하고 중국 명나라의 호통에도 끄떡하지 않았던 정도전의 용맹과 야망을 그의 아들 정진의 시선으로 역동성 있게 살아 움직이게 만들어 독자들에게 새로운 역사인식과 울림을 던져줄 것이다.


▣ 차례

프롤로그 - 정도전, 유방과 창해역사를 구하다

1. 송현방의 웃음소리
2. 난신적자
3. 늙은 수군
4. 영불서용(永不敍用)
5. 삼봉재
6. 행궁
7. 백온 유기의 유언
8. 명은 주씨의 나라요, 조선은 이씨의 나라다
9. 전하, 묻겠습니다
10. 나는 고백한다

후기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는 《단심가》는 없다
관련 실록 자료 - 정도전 연표

목록보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