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9:00 ~ PM6:00
- 점심 12:00 ~13:00
|
|
|
|
저자 : 김지현, 최재홍
출판사 : 크레타
출판년도 : 2023년 05월
분야 : 경제/금융
|
챗GPT 빅 웨이브
저자 : 김지현, 최재홍 / 출판사 : 크레타
|
|
김지현, 최재홍 지음 크레타 / 2023년 5월 / 243쪽 / 18,000원
▣ 저자 김지현, 최재홍 김지현 - 다양한 경험과 직업을 가진 ICT 분야 전문가다. 현재는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으로 AI,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기술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연구를 맡고 있다. 기존에는 SKT 에이닷 PMO로 AGI 전략과 mySUNI AI, DT컬리지에서 교육 기획을 담당했고, SK플래닛에서 신규사업 전략을 담당했다. 2000년대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모바일 사업 전략과 사물인터넷 등의 신규 서비스 기획을 하기도 했다. 한때 카이스트 정보미디어 겸직교수를 맡기도 했다. 1996년에 『컴퓨터119』라는 첫 책을 쓰기 시작해, 2009년 『웹 트렌드 & 전략 리포트』, 2010년 『모바일 이노베이션』, 2013년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그리고 2020년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화』, 2021년 『IT 사용설명서』 등 신기술 트렌드 중심의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최재홍 - 아마존 창업에서 성장까지 구석구석 분석한 교수이면서 현장을 누빈 전문가다. 1990년대 후반 데이콤 사내 기업과 전자결제를 시작으로, 벤처 업계에 발을 담그고 10년 이상 MWC(Mobile World Congress)에 참가하면서 스마트폰 시대에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관여했고, 모바일에서는 카카오의 사외이사로 카카오의 창업에서 성장까지를 지켜보았다. 스마트폰 혁명의 격동기를 지나 최근에는 부진한 혁신의 시기를 거치면서, 새롭게 일어나고 있는 인공지능의 시대에 모든 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금융, KB금융지주 IT 분야의 사외이사로 챗GPT 혁신에 참여하고 있다.
▣ Short Summary 챗GPT는 빠른 속도로 세상을 놀라게 한 초거대 언어 모델을 이용해 만든 대화형 정보 서비스다. 챗GPT 이전에 블록체인, 메타버스, NFT, 웹3 등의 인터넷 기술과 키워드가 광풍을 일으켰지만, 이렇게 빠르게, 널리 퍼져나간 서비스는 없었다. 그만큼 챗GPT는 현재 IT 산업에서 빅 웨이브를 일으키는 중요한 서비스다. 챗GPT는 이전의 서비스들과는 달리 실제 우리 일상 깊숙한 곳에서 자주, 오래 사용되는 서비스이며, 기존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개선과 새로운 AI 서비스들의 탄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래서 챗GPT는 인공지능을 한 단계 도약시켜 우리 문명에 큰 변화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전의 인공지능 서비스보다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다는 범용성도 장점이다. 그리고 이 기술을 실현해 준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 언어 모델)의 발전 또한 인공지능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을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 기술의 한계와 혁신적인 가치에 대한 의구심도 공존한다. 따라서 챗GPT와 LLM 기술을 경험하고 기업에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수용하고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아무튼 챗GPT는 초거대 AI 시대를 열었고, 이에 따라 국내외 빅테크 기업은 AGI 비즈니스 모델을 새롭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 예로 오픈AI는 챗GPT의 API를 공개하며 다른 앱들을 활용해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플러그인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슈퍼앱을 만들어 포털 전략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인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양한 생성 앱은 챗GPT의 도입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경쟁을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기능과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책은 이 시대의 빅 웨이브인 챗GPT를 중심으로 한 AI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분석을 테크라이터 김지현과 ICT 전문가 최재홍 교수의 대담 형식을 통해 소개한다. 저자들은 AI 기반 기술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AGI 생태계 속 기업들의 선택과 경쟁 구도, 챗GPT를 비롯한 생성 AI의 활용 방안과 대처 방안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챗GPT를 가능하게 한 LLM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생성 AI 서비스를 양산해 내기에 이를 활용해서 어떻게 개인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또 챗GPT가 우리 사회와 산업에 주는 영향도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한다.
▣ 차례 프롤로그 : 테크라이터 김지현 - AI 생태계를 바꾸는 혁명이 될 것인가 /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최재홍 - 개인과 기업이 준비해야 할 것을 생각하다
1 챗GPT가 앞당긴 AI의 흐름 챗GPT가 일으킬 빅 웨이브 AI의 터닝 포인트, 챗GPT의 엔진 LLM 챗GPT의 한계, 극복할 방법은
2 초거대 AI, AGI 생태계 속 기업의 선택 AGI 생태계에서 움직이는 기업들 혼돈의 AI 시대, 경쟁에서 살아남기 생성 AI 시대의 승자는
3 챗GPT가 뒤바꾼 빅테크 기업의 경쟁구도 치열해지는 빅테크 기업 전쟁 생성 AI의 킬러 서비스와 슈퍼앱 웹3와 블록체인, 메타버스를 넘는 킬러 서비스는
4 이슈로 정리한 챗GPT와 실전 노하우 챗GPT와 기업의 이슈 AGI 시대의 전망과 대비 챗GPT와 사회적 이슈 챗GPT와 개인의 이슈 업무 현장에서 스마트하게 챗GPT 사용하는 법 챗GPT 사용설명서
에필로그 : 테크라이터 김지현 - 챗GPT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다 초거대 AI 인사이트 찾아보기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