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코스모스 소개 회원가입 단체가입안내 KB카드 VVIP 회원인증 이용안내 회원FAQ 도서요약 공지사항
키워드
전체카테고리 보기
ID/PW찾기 l 보안접속
이용권 등록 회원가입
무료체험 바로가기
도서요약
 
 

경제사 미스터리21

  저자 : 라이지엔칭
  출판사 : 미래의창
  출판년도 : 2010년 11월
  분야 : 경제/금융
a4용지 10매내외 핵심요약전문
웹에서 보기 워드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PDF파일 다운로드
경제사 미스터리21
저자 : 라이지엔칭 / 출판사 : 미래의창
교보문고  BCMall     
경제사 미스터리21
저자 : 라이지엔칭 / 출판사 : 미래의창
교보문고  BCMall     
스티글리츠 보고서
저자 : 조지프 스티글리츠 외 / 출판사 : 미래의창
교보문고  BCMall     

 

라이지엔칭 지음
미래의창 / 2010년 11월 / 216쪽 / 10,000원


▣ 저자 라이지엔청

1952년 생. 1982년 파리고등사회과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92년에서 1993년까지 2년간 하버드대학 경영연구소에서 방문학자로 재직한 바 있다. 현재 대만 칭화대학교 경제학 교수로서 경제사와 경제사상사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대 중국의 경제협력 운동, 1912~1949』, 『아담스미스와 엔푸(嚴復): 국부론과 중국』, 『변진의 식량: 명나라 후기의 변방 경비와 국가 재정 위기, 1531~1602』, 『중상주의가 처한 곤경』, 『량치차오(梁啓超)의 경제 방향』 등이 있다.


▣ 역자 이명은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중국어 번역 및 중국어권 도서 기획,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다.


Short Summary

아담 스미스에서 시작된 경제이론의 역사는 25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중 비교적 중요한 발전 시기를 찾는다 해도 1900년대 이후일 것이다. 인류의 문명사를 약 5천 년 전부터 추산해보면 각 대륙, 지역, 나라별 발전 과정 가운데 흥미로운 경제사건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현대 경제학자들이 파악한 이론만으로는 아직까지도 이 복잡한 현상들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켄터베리는 "수학이 경제학을 경직시켰으나, 역사는 수학에 의한 경제학의 사후 경직을 막아주었다"고 말한 바 있다.

계산기 속 수학의 특성에 부합되는 것만을 맹목적으로 쫓고, 인위적인 방식으로 순수 로직 이론을 세우고, 경제모형조차 고려하지 않는 연구 태도는 세계를 해석할 능력이 없다는 것과 다름없다. 왜 선조들에게 묻거나 과거의 문제 발생과정과 해결과정을 보고 들으려 하지 않는가? 왜 지금의 이론으로 과거의 경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지 않는가? 중요한 것은 선조의 피땀으로 이뤄낸 경험을 잘 들여다보면 현대 경제이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역사에 대한 이해능력이 뛰어나고 간단한 수학모형을 세우거나 기초적인 통계 문건을 활용할 수 있다면, 또 직접 뛰며 사료를 수집할 수 있다면 경제사 연구를 고려해 볼 가치가 있다.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고 검토하는 쾌감을 누리는 것은 '무심히 심은 버드나무가 무성해지는 것'만큼이나 경이롭지 않은가.


▣ 차례

서문_ 왜 경제사를 공부해야 하는가?

1. 왜 컴퓨터 키보드는 ABCD 순서에 따라 배열되지 않았을까?
2. 왜 선로의 국제 표준 길이는 143.5센티미터일까?
3. 유럽인과 인디언의 키 이야기
4. 비바람이 몰아치면 주가는 떨어진다?
5. 현대 경제학으로 파라오의 꿈을 해몽하다
6. 왜 핀란드 기근은 10만 명의 아사자를 낳았을까?
7. 철도는 미국의 초기 경제발전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8. 증기기관은 영국의 산업혁명에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
9. 영국이 산업혁명의 선두주자였다고?
10. 중세 유럽 마녀사냥의 숨은 진실
11.왜 유럽은 오랜 기간에 걸쳐 웅장한 성당을 건축했을까?
12. 가톨릭교 연옥(煉獄)설에 대한 경제적 해설
13. 경제 봉쇄를 하면 얼마 동안 버틸 수 있을까?
14. 1918년 유행성 감기의 치명적 영향
15. 전쟁과 유럽 국가의 탄생
16. 세상에 유용한 전쟁도 있을까?
17. 유대인은 왜 번번이 재산을 몰수당했을까?
18. 금본위제도는 대공황의 원흉일까?
19. 유언비어를 맹종한 결과
20. 감자에 대한 경제적 사유
21. 경제성장이 영어에 미친 영향

참고문헌

목록보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