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9:00 ~ PM6:00
- 점심 12:00 ~13:00
|
|
|
|
저자 : 미래기획위원회
출판사 : 중앙books
출판년도 : 2009년 02월
분야 : 트렌드/미래
|
녹색성장의 길
저자 : 미래기획위원회 / 출판사 : 중앙books
격리된 낙원
저자 : 로베르 바르보 / 출판사 : 글로세움
꿀벌 없는 세상, 결실 없는 가을
저자 : 로완 제이콥슨 / 출판사 : 에코리브르
|
|
미래기획위원회 편저 중앙books / 2009년 2월 / 240쪽 / 12,000원
▣ 편저 미래기획위원회 강성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기획조정분과). (현)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대표 저서ㆍ논문 『한국의 경제정책(공저)』
김상협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매일경제신문 기자. 워싱턴 특파원. SBS 미래부 부장. (현)대통령실 미래비전비서관. 미래기획단ㆍ녹생성장기획단 공동단장
문영석 뉴욕주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에너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대책연구단 단장. 대표 저서ㆍ논문 『국가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박대규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주미대사관 상무관보. 산업자원부 석유산업과. (현)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미래기획단 과장.
배정환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에너지경제연구원 신재생에너지실 책임연구원. 대표 저서ㆍ논문 「바이오디젤의 경제성 예측에 관한 연구」
이창훈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독일 브레멘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연구기획 팀장. 대표 저서ㆍ논문 「신재생에너지전력 시장활성화방안 연구」
정상기 KAIST 재료공학과 졸업.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공학 박사. (현)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투자전략 실장. 대표 저서ㆍ논문 「지식전달 분석을 통한 융합연구의 실증적 고찰」
조창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미국 노던일리노이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산업연구원 환경에너지 팀장. 대표 저서ㆍ논문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사업화 지원방안 연구(공저)』
주형환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경영학 박사. 재정경제부 은행제도과장. 미주개발은행 수석자문관. (현)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미래기획단 부단장.
최영국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졸업. Agricultural University of Norway 조경학 박사. (현)국토연구원 녹색국토ㆍ도시연구 본부장. 대표 저서ㆍ논문 「녹색성장시대의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전략 연구」, 『백두대간의 자연과 인간(공저)』
최원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미국 워싱턴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대표 저서ㆍ논문 「미국발 금융위기의 국제 정치경제적 함의」, 『남북협력과 동북아 지역협력의 연계 추진방안(공저)』
▣ Short Summary 오늘날 인류는 눈부신 문명 발달의 폐해로 인해, 화석에너지 고갈과 기후 변화 심화라는 문명사적 위험에 처해 있다. 한편으로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구촌 곳곳에 '녹색 혁명' 열풍이 불고 있는데, 주요 선진국들은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 다투어 녹색시장을 선점하려 하고 있고, 세계 각국이 '그린비즈니스는 미래의 성장 동력'이라며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생존과 국가적 위상이 좌우될 수 있다.
이 책은 이 점을 직시하여, 녹색성장과 관련된 각국의 구체적인 정책 사례를 들어 한국형 녹색 산업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덧붙이면 한국 미래의 총체적인 국가 비전 및 전략 수립을 위해 신설된 대통령 직속 기구 미래기획위원회가 구체적으로 녹색성장의 기술적, 산업적, 경제적 측면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친환경 신규 시장을 개척할 방안을 알려주며, 아울러 한 가정의 식탁 위, 개개인이 이동하는 도로 등 일상생활 곳곳에 스며들 '저탄소형 생활 혁명'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을 읽은 국민들이 자가용보다는 버스와 자전거를, 백열등보다는 LED 같은 에너지 고효율 제품을 사용하게 되고,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녹색성장으로 더욱 푸르게 된 국토를 물려 줄 수 있기를 이 책의 저자들은 바라고 있다.
▣ 차례 들어가는 글_ 2008년 12월 31일, 소설가 녹성(錄成) 씨의 하루
01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전환 1 녹색성장이 바꿀 경제의 법칙 / 2 녹색성장에 대한 오해와 이해 3 녹색성장과 정부의 역할
02 기후 변화와 에너지 위기 1 기후 문제의 심각성 / 2 에너지의 구조 개편 : 국가 에너지 전략
03 녹색 경제, 어떻게 만들어지나 1 경제성장 패러다임의 전환 / 2 해외 사례로 보는 녹색성장 전략 3 한국형 녹색 산업 전략
04 녹색성장의 핵심 산업 1 에너지 생산 분야 / 2 건물 분야 / 3 수송 분야 4 환경 지속성을 높여 주는 산업들 / 5 융합 기술을 통해 더 발전하는 녹색 산업
05 녹색성장, 일상 곳곳에 스며드는 변화 1 소비자의 똑똑한 선택 - '생활 혁명' 2 녹색성장으로 달라지는 국토 3 국가 브랜드를 위한 녹색 외교
마치는 글_ 2030년 8월 15일, 녹성 씨의 하루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