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코스모스 소개 회원가입 단체가입안내 KB카드 VVIP 회원인증 이용안내 회원FAQ 도서요약 공지사항
키워드
전체카테고리 보기
ID/PW찾기 l 보안접속
이용권 등록 회원가입
무료체험 바로가기
도서요약
 
 

3만 달러 시대 패러다임이 바뀐다

  저자 : 최성환
  출판사 : W미디어
  출판년도 : 2014년 03월
  분야 : 경제/금융
a4용지 10매내외 핵심요약전문
웹에서 보기 워드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PDF파일 다운로드
3만 달러 시대 패러다임이 바뀐다
저자 : 최성환 / 출판사 : W미디어
교보문고  BCMall     
금융으로 본 세계사
저자 : 천위루, 양천 / 출판사 : 시그마북스
교보문고  BCMall     
당신만 몰랐던 국제금융 이야기
저자 : 이성한 / 출판사 : 21세기북스
교보문고  BCMall     

 


최성환 지음
W미디어 / 2014년 3월 / 270쪽 / 13,800원


▣ 저자 최성환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은행(1980~2000)과 조선일보 경제전문기자(2000~2006), 한화생명 경제연구원 상무(2006~2012)를 거쳐 2012년 4월부터 한화생명 은퇴연구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SBS 라디오와 MTN-TV에 고정출연하는 등 방송 출연, 칼럼 기고 및 기업체 강의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조선일보 방일영문화재단 이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얼굴 없는 대통령』, 『직장인을 위한 생존경제학』, 『최성환의 지청구 경제학』, 『비하인드 은퇴스토리』(공저), 『영화 속 은퇴스토리』(공저), 『기부 2.0』(공역), 『백만장자가 딸에게 보내는 편지』(공역) 등이 있다.


Short Summary

불과 2~3년 후면 우리나라는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로 진입하게 된다. 2020년대 초중반에는 국민소득 4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인당 국민소득이 높아지게 되면 일반 국민들의 자산선호도에도 변화가 생긴다. 특히 보유자산 중 부동산 비중을 줄이는 대신 금융자산 비중을 늘려가게 될 것이다. G7 국가들의 경험에 비춰봤을 때 소득 1~2만 달러 시대가 자산을 모으고 저축하는 자산축적의 시대라면, 소득 3~4만 달러 시대는 모은 자산을 굴리고 이용하는 자산관리의 시대가 될 것이다. 못살던 시대에는 어떻게 하면 돈을 벌어 집을 사고 예금을 늘리느냐 하는 축적의 시대였지만 어느 정도 살기 시작하면서 모아놓은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사용하느냐로 초점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부동산 비중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맞아서는 부동산 비중이 계속 낮아질 전망이다. 여기에 한국 경제는 부동산 버블 붕괴, 과도한 가계 부채, 계속되는 원화 가치 상승,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경제활동인구 비중의 감소, 고용불안 확대와 그로 인한 내수 부진 등의 메가트렌드를 보이면서 일본식 장기복합불황의 징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돈이 넘쳐날 때는 개인은 물론 기업이나 국가도 흥청망청하기 마련이지만, 돈줄이 마르기 시작하면 누구나 기본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수익성과 안전성은 물론 위험과 기회의 가능성을 과거보다 훨씬 더 꼼꼼하게 따지고 짚어보는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이 필요하다. 바뀌는 패러다임에 맞는 투자자산만이 각광을 받는 것처럼 바뀌는 패러다임에 잘 적응하는 동시에 차별화에 성공하는 개인과 기업, 국가만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 차례

머리말

제1부 3만 달러 시대, 패러다임이 바뀐다

01 3만 달러 시대, 언제 오나? / 02 자산축적의 시대에서 자산관리의 시대로
03 3만 달러 시대와 부동산 시장 / 04 저금리와 장수리스크가 돈의 흐름을 바꾸고 있다
05 5저 2고 시대의 재테크 및 은퇴설계 전략
06 프랑스와 한국의 중산층: 2만 달러 vs 4만 달러
07 한국 부자와 미국 부자

제2부 지금 당장 이 불황을 끝내라

01 경제전망 미스터리 / 02 BBQ가 필요한 한국 경제 / 03 때늦은 금리 인하와 땔감 논쟁
04 외국인투자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 / 05 기업하기 좋은 환경인가?
06 기업하기 나쁜 환경과 디트로이트의 파산 / 07 법인세 논란과 철새 기업
08 글로벌 500대 기업과 세계 경제의 판도 / 09 다우지수를 보면 경제 트렌드가 보인다

제3부 새로운 금융시대

01 미국 FRB의 출구전략과 데자뷰 / 02 미국 출구전략 이후의 세계 경제
03 재닛 옐런 FRB 신임의장의 2014년은? / 04 옐런호 FRB 어디로 가나?
05 중국의 리커노믹스, 경착륙인가 연착륙인가? / 06 아베노믹스, 아베의 미스테이크 되나?
07 엔저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 08 원저低, 안 하나 못 하나?
09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하와 한국은행 / 10 인구 보너스와 떠오르는 아프리카
11 대통령과 지니계수 / 12 정권 교체와 경제

제4부 4만 달러 시대를 향하여

01 저성장 자체가 한국 경제의 위기 / 02 저성장의 원인과 국가경쟁력
03 복지 100조 원 시대의 과제 / 04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문제점과 위험
05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연착륙 방안 / 06 지표경기보다 체감경기가 나쁜 이유
07 한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진입 가능성 / 08 미국의 테이퍼링tapering과 우리 경제의 대응
09 이번엔 진짜 다르다 / 10 대한민국과 삼성의 브랜드 가치
11 뉴 노멀 시대로 진입하는 글로벌 경제 / 12 글로벌화와 차별화만이 살 길이다
13 메가트렌드를 따라잡아라 / 14 영국 《이코노미스트》지의 성공 비결
15 한류와 한국판 마셜 플랜

목록보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