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9:00 ~ PM6:00
- 점심 12:00 ~13:00
|
|
|
|
저자 : 홍성화
출판사 : 시여비
출판년도 : 2023년 04월
분야 : 역사/풍속
|
일본은 왜 한국역사에 집착하는가
저자 : 홍성화 / 출판사 : 시여비
|
|
홍성화 지음 시여비 / 2023년 4월 / 435쪽 / 23,000원
▣ 저자 홍성화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 연세대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고대한일 관계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역사연구소 및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리쓰메이칸대학 객원연구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 캠퍼스 교수로 재직하면서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충주시 향토문화유사보호위원회 위원,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회장, 동아시아고대학회 부회장, 예성문화연구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사에 관한 한국과 일본 역사학계 양쪽의 분석틀을 비판하고 새로운 고대사상(像)을 제시하고자 관련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 Short Summary 일본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역사에 대한 집착적인 수준의 관심을 보여 왔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고대 일본의 야마토 정권은 일본열도를 통합하기 위해 백제를 비롯한 한반도의 국가로부터 우수한 선진 문물과 제도와 사상을 받아들여야만 했고, 결국 선진국이었던 백제 등 한반도의 도움으로 일본의 고대국가를 완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백제의 패망 이후 위기 상황에 빠지게 되었고, 그러던 중에 율령국가를 추진하게 되면서 신라를 적대시하고 자신들이 한반도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으로 바꾸게 되는데, 그런 인식 속에서 선대 일본왕실의 권위를 칭송하기 위해 편찬되었던 것이 『일본서기』다.
『일본서기』에는 우리나라의 사서에 나오지 않은 많은 한반도 관련 기록도 있지만, 그 구도는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이 왜국에 조공을 바쳤다는 식으로 한반도를 일본이 지배한 것과 같이 씌어져 있다. 소위 진구의 삼한정벌을 통해 한반도를 지배했다는 왜곡된 우월의식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결국 이후 이러한 인식이 일본인에게 면면이 이어져, 항상 위기 상황이라는 것을 명분으로 삼아 조선을 정벌하고 대륙으로 뻗어나가려는 허상을 키워왔다. 그리고 그것이 조선을 식민지화하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고, 지금도 이러한 인식이 일본 우익들의 논리 안에 자리하고 있다.
이 책은 한일 역사는 항상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데, 그 논쟁의 시작점은 고대부터 시작된 양국의 인식의 차이에서부터 출발한다면서, 칠지도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우리가 고대 한일 관계를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지, 또 근세조선 통신사가 갔던 즈음에 조선의 일본에 대한 인식이나 일본의 조선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면서 우리가 한일 관계를 어떻게 이어나가야 할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저자는 일본은 수많은 역사의 시간이 흘러가는 동안 그들의 인식 속에 항상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여 개입시키려 하였고 그들의 허상을 우리의 역사에 투영시켰으며, 이 시점에도 한국과 일본 간의 역사 논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면서,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일본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무엇을 잘못 인식 또는 오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만 시정을 요구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 차례 들어가며 - 일본은 왜 한국 역사에 집착할 수밖에 없었을까
1장 고대인의 흔적과 한일 관계 일본열도의 바위그림은 왜 홋카이도에서만 나타날까? 야마타이국의 수수께끼 칠지도의 진실 한일 고분에 얽힌 수수께끼 인물화상경은 누구를 위해 만들었던 것일까? 백제의 왕궁터는 어디인가? 백제의 기술로 쌓은 일본의 고대 산성 오우미 지역에서 만난 고대 삼국의 흔적
2장 일본인의 인식과 그 궤적 아스카와 나라의 고대궁터 적산명신과 신라명신 여몽연합군의 일본침공 그들의 방식으로 바뀐 일본의 유교
3장 화해와 질곡의 한일 관계 시코쿠에 남아 있는 피로인의 흔적 왜관과 역관 세토내해의 통신사 흔적 에도까지 이어진 통신사의 길 정한론(征韓論)의 실체 시불분리와 폐불훼석 조서인이 본 일본철도
4장 일본을 걷다 절과 신사의 거리, 나라마치 고야산, 조이시미치 순례길 무장들의 정원을 거닐다 빗츄다카마쓰성을 가다 신앙과 통치의 터전, 오키나와의 구스쿠
부록 그림으로 보는 부산의 일본 거류지 『일본거류지시대 조선견문도해』 일본 유적 답사 지도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