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9:00 ~ PM6:00
- 점심 12:00 ~13:00
|
|
|
|
저자 : 신영란
출판사 : 생각하는백성
출판년도 : 2001년 04월
분야 : 경영자 스토리/인물
|
고려 무인 이야기 1 : 4인의 실력자들
저자 : 이승한 / 출판사 : 푸른역사
고려시대 사람들이야기 1 : 정치생활
저자 : "박용운,이정신 등저" / 출판사 : 신서원
제왕들의 책사 : 고려시대 편
저자 : 신영란 / 출판사 : 생각하는백성
제왕들의 책사 : 삼국시대 편
저자 : 신영란 / 출판사 : 생각하는백성
제왕들의 책사 : 조선시대 편
저자 : "신연우,신영란 공저" / 출판사 : 생각하는백성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 문화"
저자 : 신명호 / 출판사 : 돌베개
|
|
- 고려시대편, 조선시대편 - 신연우·신영란 공저 생각하는 백성/2001년 4, 6월/각 320, 302쪽/각 8,500원
▣ 저 자
신연우 1960년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1984년 연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문학박사이며, 서울산업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이다. 저서로는『조선조 사대부 시조문학 연구』『사대부 시조와 유학적 일상성』『시조 속의 생활, 생활 속의 시조』등이 있다. 신영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한 후 잡지사 기자로 일하였으며, 현재는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우리 시대의 명인』『재미있게 말하는 사람이 성공한다』등이 있다.
▣ Short Summary 책사(策士)란 말의 사전적 풀이는 '어떤 일을 처리하거나 꾸미는 데 있어서 계책이 뛰어난 사람'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제왕들의 책사'라 할 때 책사란 반드시 긍정적인 의미를 담는 것만은 아니다. 이 책은 태조 왕건의 좌청룡, 우백호였던 최응과 유금필에서 공민왕의 빛과 그림자, 이제현과 신돈까지의 고려왕조를 움직인 책사들의 이야기와 조선왕조 519년의 역사를 통틀어 당대를 풍미했던 책사들인 정객들의 발자취들이 담겨 있다.
한 나라가 망하고 흥하는 데는 반드시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통일신라와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왕조의 흥망성쇠 과정은 마치 한편의 대하드라마처럼 흥미진진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 그 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역사는 연대기에 불과하다. 하지만 군신 간의 역학관계를 통해 인간과 권력의 실상을 낱낱이 해부한 이 책은 소설과 드라마적 기법으로 독자들로 하여금 보다 쉽고 재미있게 우리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역점을 두는 것은 물론 그것을 통해 우리들 자신의 현주소를 되짚어 보자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차 례 제1부 고려시대 편 태조편 - 최응과 유금필 광종편 - 쌍기 성종편 - 최승로와 서희 현종편 - 강조와 강감찬 문종편 - 최충과 이자연 예종편 - 윤관 인종편 - 이자겸 의종편 - 정중부와 경대승 명종편 - 최충헌 공민왕편 - 이제현과 신돈 고려 이전의 시대
제2부 조선시대 편 태조편 - 정도전과 정몽주 태종편 - 하륜과 이숙번 세종편 - 황희와 맹사성 세조편 - 한명회와 신숙주 성종편 - 김종직 중종편 - 조광조 명종편 - 문정왕후와 정난정 선조편 - 이이 인조편 - 최명길과 소현세자 영조편 - 박문수 정조편 - 홍국영과 채제공 순조편 - 정순왕후 고종편 - 명성황후와 흥선대원군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