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9:00 ~ PM6:00
- 점심 12:00 ~13:00
|
|
|
|
저자 : 조너선 해스컬, 스티언 웨스틀레이크
출판사 : 에코리브르
출판년도 : 2024년 09월
분야 : 경제/금융
|
자본 없는 자본주의 리부트
저자 : 조너선 해스컬, 스티언 웨스틀레이크 / 출판사 : 에코리브르
|
|
조너선 해스컬, 스티언 웨스틀레이크 지음 에코리브르 / 2024년 9월 / 368쪽 / 22,000원
▣ 저자 조너선 해스컬, 스티언 웨스틀레이크 조너선 해스컬 - 임페리얼 칼리지 비즈니스 스쿨의 경제학 교수이자 잉글랜드은행 통화정책위원회의 외부위원이다. 런던 퀸메리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및 학과장을 지냈다. 브리스틀 대학교와 런던 비즈니스 스쿨에서 강의했으며,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 턱경영대학원과 뉴욕 대학교 스턴경영대학원의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영국 통계청과 경쟁 및 시장청(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의 전신인 경쟁위원회에서 일했다. 저서로 스티언 웨스틀레이크와 함께 쓴 《자본 없는 자본주의》가 있으며, 이들은 2017년 혁신적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인디고상(Indigo Prize)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다.
스티언 웨스틀레이크 - 영국 경제·사회연구지원위원회(ESRC) 위원장이다. 왕립통계학회 최고 책임자, 혁신재단 네스타(Nesta)의 정책 및 연구 최고 책임자를 거쳤다. 사회적 투자를 지원하는 영재단(Young Foundation)의 일원으로서 영국 재무부(HM Treasury) 자문위원과 매킨지앤드컴퍼니의 건강 보험·사모펀드·인프라 관련 고문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혁신·연구·기술의 경제학 및 정치학이다.
▣ 역자 조미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잡지 〈월간 키노〉 기자로 일했다. 옮긴 책으로 《소크라테스 구하기》, 《지식의 헌법》, 《지구 오염의 역사》, 《디지털 화폐》, 《꿀벌의 숲속살이》, 《불평등의 역사》, 《무신론자와 교수》, 《자본 없는 자본주의》, 《마음의 혼란》 등이 있다.
▣ Short Summary 이탈리아 시에나의 공회당에는 암부로조 로렌체티가 그린 벽화 〈좋은 제도가 시에나 일대에 미친 영향〉이 있다. 그런데 암부로조 로렌체티가 이 그림을 그릴 때 시에나 경제는 눈부시게 번영하고 있었지만, 그 빛은 프레스코화 물감이 채 마르기도 전에 바래기 시작한다. 그 이유는 제도가 경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때문으로, 지금은 벽화만이 남아 시에나의 흘러간 황금기를 증언하고 있다.
이 책은 경제 발전은 신기술뿐만 아니라 거기에 맞는 제도도 갖추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전작인 《자본 없는 자본주의》에서 기계·건물·컴퓨터와 같은 유형 자산 위주의 경제는 가고, 생각·지식·관계 중심의 무형 경제가 도래했다고 주장해 2017년 혁신적 경제학자에게 주는 인디고상을 공동 수상한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새로운 경제에 맞는 새로운 제도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저자들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의 경제적 대실망은 경제는 무형 자산화 하는데 제도가 뒷받침하지 못해 무형 자산 투자가 둔화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이 주장을 조금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형자산은 쉽게 확장하고 시너지를 일으켜 기업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후발 기업이 새로운 무형 자산을 개발하는 경우 그 스필오버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후발 기업은 무형 자산 개발을 주저하게 되고, 무형 자산의 매몰성 때문에 이들이 감수해야 하는 위험은 더 커진다. 그리고 그 결과로 선도 기업과 후발 기업 사이의 좁히기 힘든 격차, 건전한 기업 간 경쟁의 감소, 소득·부뿐만 아니라 사회적 존경에서도 나타나는 엘리트 계층과 나머지의 불평등, 무형 경제에서 더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학력·지위를 놓고 벌이는 개인 간의 무한 경쟁 등이 나타난다. 저자들은 우리가 무형 경제에 맞는 제도를 마련하지 못한다면, 제도적 부채가 경제를 멈춰 세울 것이라 경고하면서, 경험에 근거한 사례와 함께 무형 경제 시대의 제도적 해법을 몇 가지 제시한다.
▣ 차례 그림 및 표 차례 머리말·감사의 글
서론: 이번 세기를 다시 시작할 방안
1부 무엇이 잘못됐나, 그리고 그 이유는? 01 경제적 대실망 02 경제 위기는 무형 자산 위기 03 무형 자산 위기
2부 달라진 경제 바로잡기 04 “과학과 유용한 기술의 진보” 05 금융 구조 06 도시가 더 잘 돌아가게 만들기 07 역기능적 경쟁 줄이기
결론: 다시 시작하는 미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