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코스모스 소개 회원가입 단체가입안내 KB카드 VVIP 회원인증 이용안내 회원FAQ 도서요약 공지사항
키워드
전체카테고리 보기
ID/PW찾기 l 보안접속
이용권 등록 회원가입
 
 

행복

  저자 : 김열규
  출판사 : 비아북
  출판년도 : 2011년 02월
  분야 : 인문 /철학/심리/종교
a4용지 10매내외 핵심요약전문
웹에서 보기 워드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PDF파일 다운로드 오디오북 듣기 오디오북 다운로드
행복
저자 : 김열규 / 출판사 : 비아북
교보문고  BCMall     
무조건 행복할 것
저자 : 그레첸 루빈 / 출판사 : 21세기북스
교보문고  BCMall     
자연에서 찾은 노년의 행복
저자 : 김열규 / 출판사 : 이숲
교보문고  BCMall     

 


김열규 지음
비아북 / 2011년 2월 / 240쪽 / 13,000원


▣ 저자 김열규

1932년 경남 고성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거쳐 동대학원에서 국문학 및 민속학을 전공했다. 서강대학교 국문학 교수,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중이다. ‘한국학’의 석학이자 지식의 거장인 그의 반백 년 연구인생의 중심은 ‘한국인’이다. 문학과 미학, 신화와 역사를 두루 섭렵한 그는 한국인의 목숨부지에 대한 원형과 궤적을 찾아다녔다. 특히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와 『한국인의 자서전』을 통해 한국인의 죽음론과 인생론을 완성했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독서』, 『공부』, 『한국인의 자서전』,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욕』, 『한국인의 화』, 『한국인의 신화』, 『한국의 문화코드 열다섯 가지』, 『고독한 호모디지털』, 『기호로 읽는 한국 문화』 외 다수가 있다.

Short Summary

한국학의 석학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김열규 교수는 “나의 성장기는 굶주림의 시대였으나 책이 있어 행복했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것이 풍요롭지만 정신과 교양이 굶주린 시대”라고 진단했다. 자신이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행복을 물질적인 것으로 한정하거나 노력 없이 굴러들어온다고 여기거나 타인과 행복의 질과 양을 비교한다. 결국 행복은 개인 스스로가 주인이고 주체란 것을 알아야 하며 행복의 텃밭은 마음이기에 눈치 보지 말고 자신의 행복동산을 지어야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오늘날 한국인은 ‘행복’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김열규 교수는 두 가지로 진단한다. 하나는 우리 삶이 경제와 물질적 풍요에 얽혀 있어서, 현대인들은 경제적 부에서 행복의 지표를 찾으려 한다. 다른 하나는 행복이 선물이나 경품처럼 주어지기를 바라는 대상이 되어버렸다. 행복은 복권에 당첨되듯이 요행수를 노리는 것처럼 되어 하늘에서 떨어지는 운수소관이 되고 말았다. 결국 한국인의 행복은 돈에 겹친 물질적 풍요와 피동적인 요행수로 전락하여 행복의 긍정적 의미가 무색할 지경에 이르렀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행복』은 질박한 한국인의 경건한 삶과 그들의 희망과 염원이 담긴 자서전이다.

우리는 누구나 행복을 원한다. 행복하게 살기를 바란다. 그러기에 행복은 삶의 지표이고 또 보람이다. 행복의 행幸은 ‘다행 행’이라고 읽는다. 복福은 ‘복 복’이라고 읽는다. 풀이되는 말과 풀이하는 말이 같은 셈이다. 이래서는 전혀 뜻풀이가 되지 않는다. 읽기만으로는 행복의 정체가 잡히지 않는다. 행복이란 말의 뜻풀이가 만만하지 않다는 암시이다. 추상적이고 관념적이어서 꼬집어 말하기가 마땅치 않는 것, 그것이 바로 행복이다. 1만 명의 사람에게 1만 가지의 행복이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우리는 기쁨이나 즐거움을 맛볼 때, 만족스러울 때, 보람을 누릴 때 그리고 무엇인가 마음에 들거나 마음이 편할 때 흔히 ‘행복하다’고들 말한다. 무엇인가 좋은 것이 듬뿍 주어졌을 때 우리는 행복을 실감한다. 그런데 참 묘하게도 다른 사람에게 베풀 때도 행복감에 젖는다. 이 모든 상황은 행복의 텃밭이 마음임을 일러주는 것이다. 그러면서 삶의 고비마다 행복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음을 일러준다. 삶은 살기에 따라서,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행복의 꽃동산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행복은 각자 하기 나름이다. 크게는 살기 나름이고 작게는 행동하기 나름이다. 각자가 행복의 주인이고 또한 주체이다.


▣ 차례

프롤로그_ 행복은 어떻게 오는가?

Ⅰ 행복의 탄생  
행복은 그냥 찾아오지 않는다
정복,맑고 깨끗한 우리들의 행복
행복의 다섯 가지 씨앗, 오복
행복밭에서 어떤 열매가 열리는가? 

Ⅱ 일상과 행복이 만났을 때 - 한국인의 행복론   
우리 삶의 시작은?_ 행복과 고통
삶을 풍요롭게 사는 법_ 일과 행복
삶의 진창에서 우리를 구원하는 힘_ 집념과 행복
흔들리는 날 연 밭에 나간다_ 도전과 행복
행복을 빚는 단서_ 행복과 갈등
릴케가 말하는 알라인이란?_ 고독과 행복
파우스트의 땀_ 행복과 노력
동양적 행복의 극치_ 달관과 체관,그리고 행복
한국인의 행복, 그 실체는?_ 행복과 정

Ⅲ 행복을 짓는 사람,사람을 닮은 행복 - 예술과 현장 속 행복
내 마음 한편에 끝없는 행복이 흐르네_ 시 속 행복
한계를 넘어선다는 것의 의미_ 소설과 동화 속 행복
한여름,아낙들의 신명 소리_ 그림 속 행복
땀 흘려 행복을 빌고 짓는 사람들_ 르포르타주 속 행복
   
Ⅳ 행복한 에피큐리언을 위한 제언   
흔들리는 에피큐리언들
쾌락의 두 얼굴,제논이냐 에피큐로스냐? 
행복한 에피큐리언을 위하여

에필로그_ 우리들 누구나 삶의 궁극은 행복이다!


목록보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