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저자 : 존 H. 젠거ㆍ조셉 포크먼
출판사 : 김앤김북스
출판년도 : 2005년 06월
분야 : 리더십
|
탁월한 리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저자 : 존 H. 젠거 외 / 출판사 : 김앤김북스
자아도취형 리더가 성공한다
저자 : 마이클 맥코비 / 출판사 : 예지
제갈공명 일기
저자 : 츠솽밍 / 출판사 : 국일미디어
|
|
존 H. 젠거ㆍ조셉 포크먼 지음 / 김준성ㆍ이승상 옮김 김앤김북스 / 2005년 6월 / 400쪽 / 15,000원
▣ 저자 존 H. 젠거 John H. Zenger - 업무 수행능력 개발 분야의 세계적인 교육 기관인 프로밴Provant의 부회장. 존 젠거는 업무 수행 능력과 리더십 분야의 권위자 중 한 사람으로, 그가 데이브 얼리치와 함께 쓴 『성과 기반 리더십Result-Based Leadership』은 미 인사관리학회에 의해 2000년도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조셉 포크먼 Joseph Folkman - 프로밴 계열인 노베이션 그룹의 관리 이사. 그가 쓴 인사관리 책으로는 『Turning Feedback Into Change』『Making Feedback Work』『Employee Surveys That Make a Difference』등이 있다.
▣ 역자 김준성 - 고려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인하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우전자 인재육성팀장, 한국능률협회 컨설턴트(인재육성과 리더십 분야)를 지냈다. 현재 씨앤피경영컨설팅 대표로 있으면서 변화관리, 성과관리, 지식경영, 리더십 분야에 대한 강의와 컨설팅을 하고 있다.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와 지식경영을 연계한 인적자원의 성과 향상이 주 관심 분야이다.
이승상 - 경북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대우전자 구미공장 교육팀장, 한국능률협회 전략사업팀장 및 프로젝트 매니저를 지냈다. 현재 씨앤피경영컨설팅 퍼포먼스 혁신 연구소장으로 있으면서 창의력, 인간관계, 조직개발, 리더십, HRD 분야의 강의와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비전 공유 및 내재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다.
▣ Short Summary 오늘날 우리 조직이 외환위기 이후 거듭된 구조조정의 여파로 많은 것이 동시에 변화하는 상황을 맞이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리더 양성과 리더십 개발은 끊임없이 강조되어 왔고, 그만큼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분야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기본적으로 리더는 리더 자신과 조직의 개발 노력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들은 리더를 세 부류로 구분하고 있다. 형편없는 리더, 좋은 리더, 탁월한 리더가 그것이다. 그리고 리더 개발의 목표를 탁월한 리더가 되는 것, 탁월한 리더를 많이 보유한 조직이 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탁월한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분야 혹은 영역을 명료하게 단순화했다는 점이다. 품성, 개인적 능력, 대인 스킬, 성과 집중력, 조직 변화 선도력, 이 다섯 가지를 기본 영역으로 설정하고 여기에 따른 역량을 16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강점을 상쇄할 만한 약점은 고쳐야 하지만, 오히려 자신의 강점에 집중하는 편이 탁월한 리더로 인식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개인 차원의 리더십 개발과 더불어 이 책은 탁월한 리더를 개발하기 위한 조직의 역할도 빠뜨리지 않고 있다. 이 책은 오랜 시간 동안 각종 조직 현장에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얻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 검증 절차를 거친 리더십 개발 방법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자신을 리더로 개발하기 원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또 탁월한 리더를 양성하고 보유하기 원하는 조직들에게 소중한 지침서 역할을 할 것이다.
▣ 차례 저자의 말 역자의 말
제1장 - 베일을 벗는 리더십 제2장 - '좋은 리더'는 정말 좋은 리더인가 제3장 - 리더십 텐트 모델 제4장 - 리더십 역량의 탐구 제5장 - 리더십 성공의 요체 : 역량, 열정, 조직의 요구 제6장 - 탁월한 리더의 복합적 강점 제7장 - 리더의 다섯 가지 치명적 약점 제8장 - 리더십 개발에 대한 새로운 통찰 제9장 - 리더십 개발 사례 연구 : 미 해병대 제10장 - 탁월한 리더가 되기 위한 개인의 전략 제11장 - 리더 육성을 위한 조직의 역할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