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9:00 ~ PM6:00
- 점심 12:00 ~13:00
|
|
|
|
저자 : 최시선
출판사 : 북허브
출판년도 : 2018년 04월
분야 : 인문 /철학/심리/종교
|
내가 묻고, 붓다가 답하다
저자 : 최시선 / 출판사 : 북허브
달라이 라마가 전하는 우리가 명상할 때 꼭 알아야 할 것들
저자 : 달라이 라마 / 출판사 : 불광출판사
사랑에 이르는 신학
저자 : 권혁빈 / 출판사 : 두란노
|
|
최시선 지음 북허브 / 2018년 4월 / 320쪽 / 14,000원
▣ 저자 최시선 충북대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중ㆍ고등학교 교사, 장학사와 교감을 거쳐 지금은 충북 진천 광혜원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이다. 오랫동안 붓다의 가르침을 공부하며 교육의 문제를 고민해 왔다. 청소년단체 ‘파라미타’를 지도하며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했다. 저서로 『청소년을 위한 명상 이야기』, 『학교로 간 붓다』, 『소똥 줍는 아이들』 등이 있다.
▣ Short Summary 청소년은 미래의 주역이다. 지금의 청소년을 보면 미래 사회를 알 수 있다. 청소년이 올바르고 건강하게 자라야 나라의 희망이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많이 힘들다. 공부, 성적, 이성교제, 친구관계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 결과 삶의 방향을 잃고 헤매고 있다. 최근 부산과 강릉에서 벌어진 여중생 집단폭행 사건은 청소년 일탈 행위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게임 중독이나 가출, 학업 중단, 음주와 흡연 등도 심각하다.
나의 관심사는 문제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 해결책을 내놓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수없이 고민하고 번민하였다. 어디서 그 해결책을 찾을까. 다행히 우리 인류 역사에는 훌륭한 스승이 있었다. 중국의 춘추시대에 어려운 시대를 구하겠다고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훌륭한 가르침을 편 공자가 있었고, 중동에서는 유대에서 예수가 탄생하여 그 시대 도탄에 빠져 있던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으며, 마호메트 또한 그랬다.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가 탄생하여 허름한 옷차림으로 아테네 시장을 누비며 청소년들에게 진리에 대한 무지를 깨우쳤다.
인류의 스승들은 암울한 시대에 오로지 인류를 구제해야겠다는 일념으로 온몸을 바쳤다. 그들을 따르는 제자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고, 그 가르침은 제자들에 의해 전수되었다. 그들은 종교를 창시하거나 학문과 철학의 큰 흐름을 형성하기도 했다. 한편, 인도에서는 붓다가 탄생했다. 붓다는 ‘진리를 깨달은 분’이란 뜻으로, 다른 스승들과 좀 다른 면이 있다. 오로지 인류를 구제하고야 말겠다는 일념은 같지만, 그 접근방식이 매우 독특하다.
첫째는 한 나라의 왕자로 태어나서 모든 부귀영화를 버리고 출가라는 형식을 취했다. 둘째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깨달음’을 강조했다. 셋째는 대단히 인간적인 가르침을 폈다. 넷째는 길에서 태어나 길에서 온유하게 갔다. 천수를 다하고 아주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했다. 마지막으로, 맨발로 탁발 걸식을 하며 제자들을 가르치고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었다.
붓다는 45년간 긴 전도 여정을 마친 후, 쿠시나가라의 조용한 숲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기 전에 제자들과 세상에게 이런 작별 인사를 남겼다.
사랑하는 나의 제자들아. 너희들 스스로에게 의지하고 진리에 의지하라. 너희들 스스로를 등불로 삼고 진리를 등불로 삼아라. 이 밖에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마라. 모든 것은 덧없나니, 게으름 피우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하라.
나의 가장 큰 관심사는 그분의 교육적 가르침이다. 붓다의 가르침은 실로 놀랍다. 붓다의 눈으로 보면 모든 사람이 어리석은 중생이지만,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는 자비의 미소가 넘쳐흐른다. 왜냐하면 청소년은 미완의 붓다이기 때문이다.
이 책이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올바르게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특히 참을성 없는 학생에게는 인욕을,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에게는 명상을, 자는 학생에게는 진정한 배움을, 흡연하는 학생에게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폭력을 행하는 학생에게는 자비의 마음을, 자살을 꿈꾸는 학생에게는 자신의 보배로움을, 선생님에게 대드는 학생에게는 스승의 위엄을 배우고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차례 01 내가 만드는 나 02 세상을 비추는 등불 03 아름다운 삶을 위한 지침 04 좋은 마음, 좋은 인연 05 함께 배워 가는 길 06 배움의 실천, 더없는 행복
|
|
|
|
|


|
|
|